자격증 관련

2024년 1회차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취득후기 (실기시험 후기)

PD i 2024. 6. 29. 13:53

2024년 1회차 실기 합격하였습니다.

전체적이 난이도와 문제 총평을 하자면 

이번에 문제오류로 준킬러 문항이 전체정답 처리 (5점)가 되었습니다.

가채점시 74점이었는데 , 84점인걸보면 return 이 없던 문제가 문제오류로 전원정답처리가 되었고 

자바문 실행순서 문제가 사람들 의견도 다르고 애매하여 제외하였는데 그 문제도 정답인거 같습니다.

어쨋든 준킬러 문항 한문제가 전원정답처리가 되어 이번 합격률이 35퍼가 넘는 역대급으로 쉬운회차가 되어버렸습니다.

 따라서 이번년도 2, 3회차는 문제 난이도도 어렵고 합격률도 20%아래로 조정할 거 같아 더 방대하고 자세하게 공부하여야 할거 같습니다.

저는

사실 join 구분 문제 (SQLD)를 땄는데도 너무 어려웠던 문제와

마찬가지로 정규화 문제 (문제 이해를 가능한 정규화 가 아닌 그 전까지로 이해하여 3정규화로 적었습니다 ㅠ) 

시저암호 문제 

네트워크 서브넷 문제 ( 저는 부분점수 받았습니다. ccna. 네관사 따고 부분점수라니 반성하겠습니다.....)

이렇게 틀린것 같습니다.

 

싱글턴 문제 (1번)

시프트연산 2번

파이썬 문자열 리스트

디자인 패턴 등은 

기출에 이미 나와 문제만 조금 달라진 정말 쉬운문제들 이였다고 생각합니다.

기출을 꼭 풀어야 됩니다 이제는.

저번 시험 , 이번 시험 마찬가지로 기출에서 나오는 문제가 많아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테스트 조건 커버리지 , 상속 오버라이딩은 조금씩 문제가 어렵게 출제되고 있습니다.

(MC/DC) 영어로 출제 , po * po (뽀뽀 ? ) 이렇게 함정을 어렵게는 아니지만 섞어 내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SQL은 4문제중 2문제는 너무 쉬웠고 (count, 릴레이션 출력) 2문제는 너무 어려웠다고 생각합니다 ( 정규화 ,join)

SQLD 기조와 마찬가지로 이론이 어려워지고 활용은 쉬워졌습니다. 그러나 난이도가 너무 급격히 바뀌어 중간이 없이 

너무 쉽고 어렵게 나뉘어졌습니다.

이제 나머지 

포인터 문제 , 응집도/결합도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솔직히 기초중의 기초라 (포인터는 매년 실기 기출에서 나오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공부하여야 합니다 그래서 기초라고 표현 하였습니다) 평이 하였고

라우팅 프로토콜 ( 네트워크 이론을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정처기에서 나오는 프로토콜 종류와 이름쯤은 모두 암기 가능합니다 ) 은 무난하였습니다 저번에 RIP가 출제 된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번에는 OSPF 가 출제되었네요 .

보안에서 APT 와 ROOT KIT 또한 지속형 위협 / 키트 로 힌트를 주어 보안치고 난이도가 낮은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이번년도 2회차 3회차 수험생들 화이팅 입니다...

1회차가 느끼기에 쉽게 출제되어 .... 

23회차는 정말 마음 준비하시고 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ㅠㅠ...

꼭 합격하시구 좋은 소식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저는 

흥달쌤 정처기실기 + 시나공 실기 기본서 + 이기적 작년으로 

(언어, 계산식)             (이론 ,기출)                (예상문제, 기출 복습)

으로 공부하였습니다.

따로 이론또한 네이버에서 판매하는 이론 요약집으로 공부하였고

SQLD , CCNA - 네관사 , 리눅스마스터 , AWS를 공부하였고 정보통신공학을 재학하며 배운 어느정도의 기초는 있는 상태에서 시험공부 2주정도  하루 2시간쯔음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