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리눅스 면접을 준비하며 중요하게 생각한 것들 (2) SSH/Telnet 및 명령어 들

PD i 2024. 9. 9. 10:00

클라우드를 활용하면서 server 접속시 보통 Putty 나 mobaxterm 등을 사용해 SSH 접속을 합니다.

접속후 요구에 따라 password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발급된 key를 pem으로 변경 후 putty로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ssh keygen 을 통해 키페어 발급 후 (AWS의 경우 생성시 발급) .ssh 에서 id.rsa (개인키) id.rsa.pub(공개키) 확인이 가능합니다.

 

Ip를 조회하는 명령어는 ifconfig 입니다. 자신의 IP를 조회하는 명령어는 무엇일까요 ?

많은 방법이 있지만 Curl (client url) ifconfig.me 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사설 / 공인 IP - 프라이빗 서브넷,퍼블릭 서브넷과도 연계되어 질문이 가능하며 

NAT와도 ( ㄱ라우드를 활용하면서 server 접속시 보통 Putty 나 mobaxterm 등을 사용해 SSH 접속을 합니다.

 

접속후 요구에 따라 password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발급된 key를 pem으로 변경 후 putty로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ssh keygen 을 통해 키페어 발급 후 (AWS의 경우 생성시 발급) .ssh 에서 id.rsa (개인키) id.rsa.pub(공개키) 확인이 가능합니다.

 

 

 

Ip를 조회하는 명령어는 ifconfig 입니다. 자신의 IP를 조회하는 명령어는 무엇일까요 ?

 

많은 방법이 있지만 Curl (client url) ifconfig.me 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사설 / 공인 IP - 프라이빗 서브넷,퍼블릭 서브넷과도 연계되어 질문이 가능하며 

 

NAT와도 ( 네트워크 주소변환으로 공인 <-> 사설 간 네트워크 주소변환으로 ) 보통 하나의 공인 ip로 여러대의 호스트가 접속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또 중요하게 생각하는 명령어는 

crul 으로 저번 부하분산 실습과 스토리지 실습 등등 항상 웹사이트 동작을 체크할 때 사용한 명령어 입니다.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GET 이지만 POST , PUT 등의 다른 옵션들도 사용해 보며 실습하며 명령어를 이해하여야 됩니다.

 

도메인 ip 조회 명령어 - nslookup 도메인 질의절차와 nslookup 사용 시 나오는 정보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nslookup 관련 문제는 리눅스마스터에서도 출제됩니다!

 

web,db 서버 확인 방법.

telnet 을 사용하여 포트번호 확인 및 ping 은 (3계층에서 사용되는 icmp 프로토콜의 명령어중 하나이므로) 문제를 확인할 때 단계별로 확인 시 3계층 까지의 문제가 아니구나 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이어서 특정포트나 서버나 DB 커넥션을 확인하는 방법인 

netstat 명령어와 이어집니다.

-intpu  - 현재 리스닝 포트 검색 가능

 

ssh, telnet, nslookup,netstat,curl 만해도 실습할 양이 많고 사용할 옵션이 많기 때문에 

2-2에서 나머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기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