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NLB를 생성하고 교차영역 로드밸런싱 동작을 확인하겠습니다.
대상그룹을 생성해주었습니다.
모든 인스턴스를 선택후 생성해줍니다.
로드밸런서 생성을 위한 설정입니다 .
몇분기다리면 프로비저닝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NLB 동작 확인을 위한 그림입니다.
NLB-TG 그룹에 각 인스턴스 서버를 포함했으며 두 가용영역 모두 로드밸런서가 생성됩니다.
이때 로드밸런서는 통신을위한 ENI를 생성하고 퍼블릭 IP주소를 할당합니다.
MyEC2 인스턴스에서 snmp 서비스를 확인하였습니다.
확인결과 트래픽을 서버 1에는 30, 서버 23 에는 15회씩 전달되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ALB와 다르게 NLB는 라운드로빈 RR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교차 영역로드 밸런싱을 활성화 하였습니다.
앞선 결과와 다르게 가용 영역을 교차해서 응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ALB,NLB 의 출발지 IP보존을 확인하려 하는데 프로젝트 마지막에 설명드리며
이번 부하분산실습을 마치겠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교과서 - 스토리지 서비스 (4장) 스토리지 서비스 실습편 (0) | 2024.06.29 |
---|---|
aws 교과서 - 스토리지 서비스 (4장) 스토리지 서비스 이론편 (0) | 2024.06.29 |
aws 교과서 - 부하분산 서비스 (3장) ALB 실습편 (0) | 2024.05.24 |
AWS 교과서 - 2장 VPC 설정 실습하기 (0) | 2024.05.22 |
AWS 교과서 - 2장 실습하기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