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란 ?
스토리지는 컴퓨터 프로세서가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자기 형태로 저장하는 장소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저장 장치를 스토리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차 스토리지와 2차 스토리지로 나뉩니다.
AWS 가 제공하는 주요 스토리지에는 블록 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 객체 스토리지가 있습니다.
각 목적에 따라 사용하길 권하며 , 특징을 소개하겠습니다.
블록 스토리지
-단일 스토리지 볼륨을 블록이라는 개념으로 개별 단위로 분할해서 저장합니다.
각 블록은 저장된 위치에 고유한 주소가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각 블록은 가상 머신 인스턴스에 위치합니다.
일반적인 블록스토리지는 SAN(storage area network)또는 가상 머신의 디스크로 사용됩니다.
- Amazon EBS
파일 스토리지
-파일스토리지는 파일 수준,파일 기반 스토리지라 하며 디렉터리 구조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
각 파일은 폴더에 종속 되며 계층구조를 이룹니다.
일반적인 파일 스토리지는 NAS 에 사용됩니다.
-Amazon EFS
객체 스토리지
- 각 데이터 조각을 객체로 지정하고 개별단위로 저장하빈다. 모든 객체는 계층 구조없이 단일한 평먼적인 주소 공간에
저장되며 이러한 주소 공간에는 데이터 및 관련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객체에 고유 식별자가 있습니다.
OS나 파일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으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객체에 쉽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객체 스토리지 시스템에서는 객체의 키 만 알고 있으면 쉽고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며
객체 스토리 접근에는 HTTP기반의 REST API를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스토리지 서비스로 사용됩니다.
-Amazon S3
이러한 스토리지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준으로는
내구성 가용성 보안 비용 확장성 성능 통합성 이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EBS 는
EC2 인스턴스 에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쉽게 운영 체제에 외장하드디스크를 연결해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EBS 볼륨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에 데이터베이스 처럼 데이터 출입이 많은 서비스에 유리하며
EC2 연결시 파일시스템을 포맷후 사용하는데 리눅스는 주로 xfs, ext4
윈도우는 NTFS 포맷이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EBS 는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수명 시간이 독립되어 있습니다.
EBS 의 특징 으로는
데이터 가용성
데이터 지속성
데이터 안정성
데이터 백업
데이터 확장성이 있습니다.
볼륨 유형은 SSD 와 HDD 유형이 있으며 속도와 비용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큰 특징인 데이터 백업인
EBS 스냅샷은 특정 시점에 포인트를 찎어 그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지점을 만드는 것입니다.
증분식 백업 방식을 이용해 마지막 스냅샷 이후 변경되는 데이터 블록만 기록하고 복제하므로 비용과 시간면에서 효과적 입니다.
스냅샷은 기본적으로 Amazon S3 라는 스토리지 공간에 저장되어 여러 가용영역에 자동으로 복제됩니다.
(계정간, 리전간 복제 가능)
이와 더불어 S3 보안에 대해 설명드리면
S3 버킷 접근은 일반적으로 버킷생성시 유일한 식별자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은 정말 중요합니다.
그렇기에 IAM 서비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IAM을 이용하여 접속 사용자나 데이터 접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음편 실습에서 자세히 스토리지 서비스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교과서 - 스토리지 서비스 (4장) 스토리지 서비스 실습편 (0) | 2024.06.29 |
---|---|
aws 교과서 - 부하분산 서비스 (3장) NLB 실습편 (1) | 2024.05.30 |
aws 교과서 - 부하분산 서비스 (3장) ALB 실습편 (0) | 2024.05.24 |
AWS 교과서 - 2장 VPC 설정 실습하기 (0) | 2024.05.22 |
AWS 교과서 - 2장 실습하기 (0) | 2024.05.18 |